linux 압축 및 파일 묶기
파일 합치기 + 용량 줄이기
gzip : 파일의 용량을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 ( 압축해제 옵션 : -d)
bzip2 : 파일의 용량을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 ( 압축해제 옵션 : -d)
tar : 아카이브 파일이라는 파일 저장공간을 생성 후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묶으면서 옵션으로 gzip / bzip2를 이용
Tar 명령어 사용형식
tar [옵션] [아카이브파일 이름] [압축대상] / tar는 옵션 앞에 -를 생략
파일인 경우 f를 넣는다 = f는 대부분 들어간다
c(생성) , x(해제) , f (파일) , t(목록),
v (과정출력), r(파일 추가), z (gzip), j(bzip2)
-C (지정한 위치에 압축해제)
상대 경로
[root@VM01 backup]# tar cvfz /home/itbank/backup.tar.gz ./*
= backup 까지만 적어도 됨 .tar .gz 는 파일 형식을 나타내기 위해 적는다./* = 현재 경로의 모든 파일
절대 경로
[root@VM01 itbank]# tar cvfj ./backup.tar.bz2 /backup/* = 상위 경로 포함
[root@VM01 itbank]# tar xvfj ./backup.tar.gz -C /backup - 파일(대상들)만 압축 = 상대 경로로 압축 시
[root@VM01 itbank]# tar xvfj ./backup.tar.bz2 -C /backup - 디렉토리까지 압축/ 상위 경로 포함 = 절대 경로로 압축 시
snap 은 백업 여부를 알려주는 표시
[root@VM01 test]# echo 4 > /test/test4.txt
[root@VM01 test]# tar -g /backup/backup-0.snap -zcvpf /backup/backup-2.taz ./*
./test4.txt
백업시 제일 첫 번째로 저장한 거부터 순서대로
차분 백업
[root@VM01 backup]# mkdir /test
[root@VM01 backup]# cd /test
[root@VM01 test]# ls -l /backup
합계 0
[root@VM01 test]# ls -l
합계 0
[root@VM01 test]# echo 1 > test1.txt
[root@VM01 test]# echo 2 > test2.txt
[root@VM01 test]# tar -g /backup/backup-0.sanp -zcvpf /backup/backup-0.tgz ./*
/dev/sr0 = CD-ROM
/dev/sd = scaci 하드
xfsdump -L "Backup of /boot" -M "Backup Media:/dev/sdb1" -l 0 -f /backup/boot.bak /boot
L 라벨 지정
M 경로 라벨 지정
l = 레벨 지정
/backup/boot.bak 백업 경로
/boot 백업파일 가져오는 경로
linux network (0) | 2021.11.01 |
---|---|
shell script 실습 정리 (0) | 2021.11.01 |
RAID 개념과 간단 실습 (0) | 2021.11.01 |
linux package manage (0) | 2021.11.01 |
리눅스 사용자 및 권한 (0) | 202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