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삼바는 서로다른 서버 window <-> linux 또는 ubuntu <-> window 에서 서로 자원을 공유하고 싶을때 사용하는 서비스 입니다.
설명은 간단하게 하고 아래 실제 사용 방법을 적은 기록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쌈바 사용법
1기가 하드 디스크 추가
fdisk /dev/sdb 추가
mkfs.xfs /dev/sdb1
mkfs.xfs /dev/sdb2
[root@VM01 ~]# mkdir -p /samba/anonymous
[root@VM01 ~]# mkdir -p /samba/smbg
[root@VM01 ~]# mount /dev/sdb1 /samba/anonymous
[root@VM01 ~]# mount /dev/sdb2 /samba/smbg
vi/etc/fstab
/dev/sdb1 /samba/anonymous xfs defaults 0 0
/dev/sdb2 /samba/smbg xfs defaults 0 0
:wq
[root@VM01 ~]# yum -y install samba-*
[root@VM01 ~]#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samba
[root@VM01 ~]# firewall-cmd --reload
[root@VM01 ~]# vi /etc/samba/smb.conf
[global]
workgroup = WORKGROUP -> WORKGROUP으로 통일해 client 작업그룹을 통일시킨다
security = user
passdb backend = tdbsam
netbios name = centos
map to guest = bad user
hosts allow = 192.168.1. -> 대역을 정할때는 네트워크 아이디 까지만 적고 호스트 아이디는 남겨둔다
[Anonymous] -> 인증없이 접속
path = /samba/anonymous -> 경로지정
browseable = Yes -> 탐색허용 no 일경우에는 공유폴더 리스트가 보이지 않는다
writeable = Yes ->쓰기권한 / 로컬권한도 확인 필수
guest ok = Yes -> 게스트 계정도 접근 가능하게 설정
[SMBG] -> 인증해야 접속하도록 설정
path = /samba/smbg
valid users = @smbg -> smbg그룹을 만들어서 인증진행
guest ok = No
writeable = Yes
browseable = Yes
create mask = 0644
directory mask = 0755
:wq
[root@VM01 ~]# groupadd smbg -> smbg 그룹 설정위해 생성
[root@VM01 ~]# useradd -g smbg sambauser - > smbg 그룹에 속한 sambauser 계정 생성
[root@VM01 ~]# smbpasswd -a sambauser -> samba 전용으로 사용하기위해 패스워드 생성
[root@VM01 ~]# chmod 757 /samba/anonymous -> 아무나 설정 가능하도록 권한 설정
[root@VM01 ~]# chown .smbg /samba/smbg -> smbg에 속하도록 소유권
[root@VM01 ~]# chmod 775 /samba/smbg -> smbg에 속했을때 설정가능하도록 권한 설정
[root@VM01 ~]# ls -l /samba
합계 0
drwxr-xrwx 2 root root 6 6월 16 09:48 anonymous
drwxrwxr-x 2 root smbg 6 6월 16 09:48 smbg
[root@VM01 ~]# systemctl start smb
[root@VM01 ~]# systemctl start nmb
[root@VM01 ~]# systemctl enable nmb
[root@VM01 ~]# systemctl enable smb
===client ==
CMD 실행
\\centos 또는 \\192.168.1.128
정상작동 안될경우
ncpa.cpl 에서 네트워크 확인
vi /etc/sysconfig/selinux 여기서 :3 disabled
Smbg = sambauser로 로그인 시도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시켜서 자동으로 연결
cmd - net use \\이름\경로 / net session
ssh /reverse ssh tunnel 이란? (0) | 2024.05.18 |
---|---|
Linux 7 에 docker 설치방법 (0) | 2024.05.17 |
linux nfs 사용하기 (0) | 2021.11.01 |
linux network (0) | 2021.11.01 |
shell script 실습 정리 (0) | 202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