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을 살다 보면 의욕이 없거나 힘이 들거나 삶의 의미를 잃은 것 같은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인생은 언제나 희노애락이 함께하는 롤러코스터 같은 여정이지만 언제나 즐거움과 기쁨만을 추구하기에 슬픔과 노여움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를 때 또는 계속되는 고통이 동반될 때 인생의 방향을 잃고 의욕이 사라지는 것 같다.
누구나 고민하며 끊임없이 찾는 인생의 의미를 누구와도 비교하지 않고 나만의 색깔을 찾아가며 그려간다면 힘들지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힘과 그리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원동력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고민에서 시작된 글쓰기를 시작해 보려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8KkKuTCFvzI
https://www.youtube.com/watch?v=9txKfEb8o8A&t=56s
나에게 너무 힘들 때 인생의 의욕이 사라질 때 작은 한줄기 빛과 같이 유튜브 알고리즘에 의해 감사하게도 찾아온 두 동영상을 보며 다시 한번 의욕을 다지며 앞으로 나아가게 해 준 고마운 동영상들이다.
첫 번째 영상은 유명한 ted 강연에서 어떤 삶이 가장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어 줄까에 대한 연구 결과에 대한 영상이다.
인생을 살면서 누구나 자신만의 특별한 삶을 살아간다.
어떤 이는 부유하고 복지가 좋은 국가에서 어떤이는 가난하고 복지가 좋지 못한 국가에서 태어나 인생을 살고 행운과 불운을 겪으며 살아간다.
그렇다면 부유하고 복지가 좋은 국가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모두 행복하고 그 반대는 모두 불행한 인생을 보낼까? 단언컨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We did that. The Harvard Study of Adult Development may be the longest study of adult life that's ever been done. For 75 years, we've tracked the lives of 724 men, year after year, asking about their work, their home lives, their health, and of course asking all along the way without knowing how their life stories were going to turn out.
So this message, that good, close relationships are good for our health and well-being, this is wisdom that's as old as the hills. Why is this so hard to get and so easy to ignore? Well, we're human. What we'd really like is a quick fix, something we can get that'll make our lives good and keep them that way. Relationships are messy and they're complicated and the hard work of tending to family and friends, it's not sexy or glamorous. It's also lifelong. It never ends. The people in our 75-year study who were the happiest in retirement were the people who had actively worked to replace workmates with new playmates. Just like the millennials in that recent survey, many of our men when they were starting out as young adults really believed that fame and wealth and high achievement were what they needed to go after to have a good life. But over and over, over these 75 years, our study has shown that the people who fared the best were the people who leaned in to relationships, with family, with friends, with community.
위에 대사에서 볼 수 있듯이 75년간 장기간 724명의 사람들을 추적 조사한 초장기 대형 프로젝트에서 밝혀진 인생에서 행복한 사람들의 특징은 가족 , 친구 , 커뮤니티에서 의미 있는 관계를 맺는 사람들이 가장 행복하다고 한다.
힘든 순간 내 마음을 따듯하게 해 줄 수 있는 친구들과 가족들에게 한 번 더 관심을 기울여보면 어떨까?
만약 지금 이 순간 주변에 그런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생각이 든다면 자신이 먼저 그런사람이 되어보는건 어떨까?
꽃에는 나비가 꼬이고 똥에는 똥파리가 꼬이듯이 자신이 그런사람이 먼저 된다면 머지않아 주변에는 사랑과 관심이 넘치는 친구들이 가득하게 될 거라고 나는 확신한다.
두 번째 동영상은 심리학자로 유명한 jordan peterson이다
해당 영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생을 살면서 자신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 그리고 어떤 걸 하고 싶은지 알 수 있는가?
만약에 자신이 하고 싶은 게 없고 어떤 위치에 있는지 알 수 없다면 지금 당장 내 인생을 망치고 있는 수많은 결정들을 먼저 제거해보자.
그렇게 하다 보면 인생에 질서가 생기고 문제점들을 하나씩 해결하며 하고 싶은 것이 생기고 인생의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될 거라는 강의 내용이다.
이 영상을 보면서 나에게는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던 거 같다. 언제나 내가 하고 싶은 것 즐거운 것들에 치중하며 살아왔지만 목표나 의지가 사라졌을 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몰라 방황하던 나에게 오히려 역으로 하지 말아야 할 것들에 집중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자신이 하고 싶은 것과 해야 할 것들이 눈앞에 보일 거라는 역발상은 내게 한 번도 없었던 거 같다.
누구나 인생을 살면서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있을 텐데 누군가가 이 글을 읽고 함께 인생의 의미를 찾고 앞으로 나아갔으면 좋겠다.
p.s 인생을 살며 너무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나를 포함한 모든사람 에게 하고싶은 말
너는 오늘도 너의 최선을 다한 삶과 의미 있는 삶을 살려고 노력했구나!
너는 정말 잘하고 있어!